등록일
2013-01-24임산부 독감 예방주사, 태아에게 안전한가?
올 겨울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독감이 유행하고 있다. 이번에 국내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 유형은 H1N1 인플루엔자로 다행히 올해 국내 의료기관에서 접종된 백신은 H1N1 인플루엔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임산부 가운데는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이 미칠 것을 우려하여 독감 예방 백신 접종을 미루고 있는데, 최근 노르웨이 연구진이 독감 예방주사가 엄마와 아기 모두에게 안전하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2013년 1월 NEJM 저널에 발표하였다.
신종인플루엔자A (H1N1)란?
신종 인플루엔자A는 2009년 4월 멕시코와 미국 남부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급속히 전파되어 74개의 나라에서 145명이 사망하였다. 이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형이며, subtype이 HA Hemagglutinin) 단백질이 1형 (H1)이고, NA (Neuraminidase)단백질이 1형 (N1)이므로, H1N1으로 불리게 되었다.
[표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류
Influenza virus type |
Subtype |
Host |
A |
144 subtype (16H X 9N) 예)H1N1, H3N2, H5N1... |
사람, 조류, 포유동물(말, 돼지…) |
B |
단일형 |
사람 |
C |
단일형 |
사람 |
[그림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H1N1 (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임산부는 신종인플루엔자A (H1N1) 감염 위험이 높다.
2009년 통계를 보면 임신 중기와 후기에 있는 여성과 면역저하 환자에게 특히 높은 H1N1 바이러스 감염을 보였다. 임신한 여성은 H1N1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1~2 %에 해당되지만,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7~10 %를 차지하며, 사망한 환자의 6~10 %가 임신한 여성이기 때문에 임신한 여성에게 H1N1 바이러스 감염은 매우 위험하다.
[표2] H1N1 바이러스 감염 고위험군
임신한 여성의 H1N1 백신 접종은 태아에게 안전하다.
이 연구는 2009년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할 당시 노르웨이의 National Population Register, Norwegian Immunization Register, Surveillance System for Communicable Diseases, Directorate of Health 자료를 근거로 하여 노르웨이에서 H1N1 인플루엔자 감염과 백신 접종에 따른 태아의 안전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출생한 117,347명 아기 중 쌍둥이 또는 인플루엔자가 유행하지 않았던 2009년 1월 출생된 아기를 제외한 113,331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이 기간 중 임신한 여성 25,976명은 팬덤릭스(Pandemrix, GSK) 백신을 접종하였고, 이중 78명의 태아 사망이 있었다. 반면 이 기간에 임신한 여성 중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여성은 87,335명이고, 414명의 태아 사망이 있어, 백신접종이 태아의 사망을 높이지는 않는다.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때의 태아 사망 위험은 평상시 보다. 1.2 배 높다 (hazard ratio, 1.26; 95% CI, 1.02 to 1.55).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확인된 여성 중 태아의 사망 위험은 2배 이상 높다 (hazard ratio, 1.91; 95% CI, 1.07 to 3.41). [참조 표3]
[표3] 백신 접종에 따른 태아사망 위험율 (2009~2010년 사이 출산한 113,333명 여성 중 태아 사망한 492명을 기준으로 분석됨)
백신을 접종한 임산부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임산부와 비교하여 태아 사망의 위험이 약간은 낮다 (hazard ratio, 0.88; 95% CI, 0.66 to 1.17). [참조 표3]
그러나 대부분의 백신 접종은 대유행일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 유행 시기 (2009.10.01~12.31) 동안을 비교한다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여성에게서 태아 사망이 백신을 접종한 여성보다 높다 (hazard ratio, 1.25; 95% CI, 1.02 to 1.55). [참조 표4]
[표4] 대유행(Pandemic Wave)과 백신 접종 상태에 따른 태아사망 위험율 (2009~2010년 사이 출산한 113,331명 여성 중 태아 사망한 492명을 기준으로 분석됨)
마지막으로 백신 접종과 태어난 아기들 사이에서의 관계를 조산, 체중 미달, Apgar score 관점에서 비교하였으나, 백신을 접종 받지 않은 여성들의 아기와 비교하여 백신 접종으로 인한 특이적인 사항은 없었다.
[표5] 태어난 신생아의 위험율 (2009~2010년 사이 출생한 112,839명의 신생아를 기준으로 분석됨)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자체는 태아 사망을 2배 증가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지만, 백신 접종이 태아의 건강에 아무런 해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HO는 매년 유행할 것 같은 독감의 종류를 사전에 예측해서, 2가지 A타입과 1가지 B타입, 즉 3가지 백신을 선택해서 혼합한 후 접종시킨다. 올해 접종된 인플루엔자 백신은 미국에서 유행하는 H3N1과 국내에서 유행하는 H1N1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 늦기 전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특히 태아의 안전성 문제로 독감 백신 접종을 미루었던 임산부들도 태아의 건강에 아무런 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엄마와 아기 모두를 보호하기 위하여 독감 예방접종을 권고한다.
[Reference]
Haberg SE, Trogstad L, Gunnes N, Wilcox AJ, Gjessing HK, Samuelsen SO, Skrondal A, Cappelen I, Engeland A, Aavitsland P, Madsen S, Buajordet I, Furu K, Nafstad P, Vollset SE, Feiring B, Nokleby H, Magnus P, Stoltenberg C. 2013. Risk of fetal death after pandemic influenza infection or vaccination. N Engl J Med; doi:10.1056/NEJMoa1207210 [Online 17 Januar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