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보

한올의 연구원은 의약정보를 학습하고, 그 정보를 고객분들께 제공해 드립니다.
사람을 향한 한올의 마음은 오늘도 건강한 삶을 만들어 갑니다.

비타민D 결핍은 조현병(정신분열증) 발병 위험 인자

등록일|2016-05-19

첨부파일

비타민 D 결핍은 조현병(정신분열증)발병 위험 인자

조현병이란?

조현병(정신분열증)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만성정신질환이다. 현재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도파민 등 신경전달 물질 시스템의 이상, 변연계 및 기저핵 이상 등의 신경병리적 영역, MRI, MRS, PET 등을 이용한 뇌 영상학 연구 영역, 그리고 신경생리학적 영역 등이다.

조현병(정신분열증) 100명중 1명 꼴로 발병하며, 보통 16~30세 사이에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혈액 중에 아미노산 Proline 이 증가하면 조현병(정신분열증)에 걸린다.

비타민 D Proline 의 과잉 증가를 억제한다.

- 조현병(정신분열증)환자 중에는 비타민D 부족자가 많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차례 발표 되었다. 그러나 본 임상을 통해 그 이유가 밝혀졌다. 그것은 아미노산 Proline 과잉 증가 때문이며 이는 또한 비타민D 부족 때문임이 밝혀진 것이다.

- 따라서 조현병(정신분열증) 발병 위험이 높은 자뿐만 아니라 현재 조현병(정신분열증) 치료를 받고 있는 자들도 비타민D를 충분히 복용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컬럼비아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조현병(정신분열증) 연구 학회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비타민D 결핍된 환자는 조현병(정신분열증)발병 위험율 2배 또는 3

- 분열증 환자 64명과 대조군 9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의 혈중 농도를 측정 한 결과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20ng/mL 이하에 속하는 비타민D결핍자들은 비타민D혈중 농도가 정상 이상인 자 보다 조현병(정신분열증) 발병 위험도가 2.1배나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다가 비타민D 결핍자들은 혈액 중에 과잉의 Proline3배나 더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발견 되었다.

구분

비타민D 결핍

비타민D 정상

혈중농도

20ng/mL 이하

30ng/mL 이상

정신 분열증 발병 risk

2.1

1

혈중 Proline 과잉농도

3

1

 

조현병(정신분열증)을 일으키는 아미노산 Proline

- Dopamine Glutamate은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이다. 조현병(정신분열증)은 이 두 신경 전달 물질이 과잉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있는데, 이중에서도 Glutamate은 아미노산 Proline이 조절하는 물질로, 조현병(정신분열증) 환자의 혈액 중에는 Proline의 농도가 과잉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타민D Proline 의 혈중 농도를 감소

- 또한 비타민D는 유전자 22q11 에 작용하여 Proline 의 분해를 촉진 하는 효소 PRODH (Proline Dehydrogen ase)를 발현(합성)시켜 Proline 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비타민 D 결핍은 조현병(정신분열증)발병 위험 인자

지금까지의 조현병(정신분열증)의 발병 위험 인자는 유전적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뇌의 회백질 부위가 손상을 입은 자, 임신1기 및 2기중 태아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등이 있다. 그러나 Proline 분해 효소를 발현시키는 염색체 22q11이 변질되어 Proline 의 혈중 농도가 과잉으로 증가하게 되면 비타민 DProline 분해 효소를 발현 시켜 Prolin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에 비타민D가 결핍되는 경우에는 조현병(정신분열증) 발병할 위험이 크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림] Schizo (조현병(정신분열증))

  

 (참고문헌)

Schizophr Res. 2014 Jun;156(1):15-22. Vitamin D insufficiency and schizophrenia risk: Evaluation of hyperprolinemia as a mediator of association. Clelland JD et al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New York University Langone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