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보

한올의 연구원은 의약정보를 학습하고, 그 정보를 고객분들께 제공해 드립니다.
사람을 향한 한올의 마음은 오늘도 건강한 삶을 만들어 갑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와 출혈 및 병원내 사망 관계

등록일|2013-03-14

첨부파일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출혈 및 병원내 사망 관계

 

 

 

 

PCI 이후 많은 환자들에게서

 

출혈이 일어 나는 경우가 많고,

 

출혈 발생시 사회적 비용 및

 

환자의 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PCI 이후 출혈이 발생하게 되면

 

사망, 심근경색, 뇌졸증, 수혈,

 

입원기간 및 재입원률 증가 등

 

많은 risk가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PCI 이후에 발생하는 출혈과

 

병원내 사망률의 관계가

 

명확하지는 않았다.

 

(PCI related bleeding #amp; in-hospital mortality)

 

 

 

 

 

 

 

 

PCI 시술후 출혈 발생하면

 

 

병원내 사망률 증가해

 

 

 

 

 

미국의 CathPCI Registry 2004-2007년의

 

기록을 조사하여, 3,386,688건의

 

PCI를 확인하였고 환자 특성을

 

조정하여 비교하였다. 

 

 

 

57,246건의 major bleeding events

 

있었고 (1.69%; 95% CI, 1.68%-1.70%),

 

22, 165건의 원내 사망이 확인되었다.

 

(0.65%; 95% CI 0.64%-0.66%). 

 

 

 

결과적으로는,

 

Major bleeding complications가 있었던 그룹은

 

bleeding event가 없었던 그룹보다

 

병원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다.

 

 

 

Bleeding

No Bleeding

P-value

In-hospital deaths

5.58%

0.57%

<0.001

 

 

 

또한,  출혈 위험 수준에 따라

 

결과도 다른 것을 확인 하였다.

 

 

 

 

Low

Intermediate

High

Major bleeding

0.60%

(0.59-0.62%)

1.47%

(1.45-1.49%)

4.12%

(4.07-4.16%)

In-hospital deaths

0.075%

(0.069-0.080%)

0.39%

(0.38-0.40%)

2.36%

(2.32-2.40%)

 

 

 

 

 

 

위의 테이블 및 그래프 결과를 보면 출혈위험이

 

높은 환자 일수록 major bleeding events

 

원내 사망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누가 가장 위험하고,

 

 

 

Number Needed to Harm?

 

 

 

현 실험 결과를 보다 면밀히 분석한 결과

 

factor들에 따라 부작용 확인을 위한 환자수

 

(Number Needed to Harm, NNH)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NNH는 대출혈 경향과 관련된 원내 사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출혈위험이 높은 (high bleeding risk)

 

그룹에서는 NNH 21 (95% CI:  20-23)이며,

 

Non-access-site bleeding (PCI insertion site )

 

그룹은 NNH 16 (95% CI: 15-17)이라는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NNH의 수치가 가장 낮았던,

 

즉 가장 위험한 그룹은

 

75세 이상, STEMI, 신장 장애가 있었던 환자들 이었으며

 

이러한 sub group에서는 PCI이후에 보다

 

세밀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CI Acute Coronary Syndrome (ACS) 환자에게

 

큰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출혈 위험 인자를 보다 면밀히 관찰하고 확인한다면

 

예방 차원에서 사망률이나 유병율을 감소시켜

 

환자 치료에 있어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Reference]

Chhatriwalla A, Amin A, Kennedy K, House J, Cohen D, Rao S, et al.  Association Between Bleeding Events and In-hospital Mortalit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AMA 2013;309(10):1022-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