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일
2015-04-30임산부의 철분제 복용은 필수?
최근 미국질병예방특별위원회(USPSTF)가 발표한 임산부의 철결핍성 빈혈 (IDA) 검사에 대한 권고안에 따르면, 2006년 B등급으로서 권고 대상이었던 검사가 올해에는 이해(利害) 판단에 관한 증거 불충분으로 I등급 판정이 내려졌다. 이러한 판정을 뒷받침하는 여러 근거 중 하나인 McDonagh 팀의 논문이 Annals of Internal Medicine 지 2015년 4월호에 개재되었다.
1996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구들을 분석
McDonagh 팀은 Key Question 및 분석 구조를 설정한 후, 1996년부터 2014년 8월까지 MEDLINE 및 Cochrane Library 등에 개재된 논문들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논문을 추출하였다(Figure 1.).
McDonagh 팀이 설정한 Key Question은 임산부의 철분 보충과 IDA 검사로 나뉘어졌는데, 철분 보충의 경우에는 1) 임산부의 정기적인 철분보충이 모체와 신생아에 건강 상태에 미치는 장점 (Supplementation-KQ1)과 “2) 임산부의 정기적인 철분보충이 모체와 신생아에 건강 상태에 미치는 단점 (Supplementation-KQ2)의 2 가지 Key Question이 있다. KQ1의 경우에는 14개의 연구가 KQ2의 경우에는 10개의 연구가 추출되었고, IDA 검사의 5가지 Key Question에는 어떤 논문도 추출되지 않았다 (Table).
영양소로서 철이란 무엇일까?
철이 인체에 어떠한 역할을 하기에 논문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일까? 영양소로서 철은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으로 전신에 산소를 운반하고 체내의 효소 작용을 도와 여러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무기질이다. 하지만 철분제의 경우 위장관에서 흡수되면서 주위의 물질을 산화하여 활성산소를 생성시키는데 이 활성산소가 위를 자극하여 위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흡수되지 않은 철은 대장 내에서 산화되어 산화철로 변하여 변비를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도 종종 발생한다.
복용 가능한 철의 종류에는 한 가지만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생체 내 결합한 단백질에 따라 헴철과 비헴철로 분류되고 환원 정도에 따라 2가철과 3가철로 나뉘게 된다. 헴철은 체내 단백질 중 헴과 결합한 철을 일컫는 말로, 육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철분제 중 흡수율이 20~35%으로 가장 높다. 또한 체내에서 이온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철분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위장장애도 일으키지 않는다. 비헴철은 헴을 제외한 단백질과 결합한 철을 일컫는데 주로 식물성 음식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헴철보다 생체이용률은 낮은 편이다. 식품이 아닌 영양제에 함유된 철의 경우에는 무기철이 대부분으로 2가철과 3가철 모두 흡수되기 위하여 체내에서 이온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부작용 또한 발생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이온화 되지 않는 3가철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임산부에게 철은 필수 영양소?
국내에서는 임산부 철분제 및 엽산제 지원사업이 있다. 임산부의 산전·산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분만을 유도하고 태아와 모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철분제 및 엽산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철분제의 경우 보건소에 등록된 임신 16주 이상의 임산부는 분만 전까지 무료로 철분제가 지원된다. 이처럼 국가에서 임산부의 철분 보충에 적극적인 이유는 임신 중에는 태반과 탯줄을 통해 태아에게 충분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혈액의 전체의 양이 증가하게 되지만 헤모글로빈의 증가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여 임신 중 IDA 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상기의 이유로 국내에서 철분제는 엽산제와 더불어 임산부의 필수 영양제로 인식 되지만 미국의 경우는 좀 다르다. IDA검사가 올해 USPSTF에서 I 등급을 받은 것보다 앞서 임산부의 일상적인 철분 보충은 2006년에 I등급을 받았다. 임산부의 정기적인 철분제 복용이 임산부의 혈액학적 파라미터를 개선시키고 단기적으로는 철결핍증이나 IDA의 위험이 낮아질 수는 있지만 철분 보충이 임산부나 영아의 건강에 도움이 되다는 증거는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임산부의 철분 보충이 철겹핍 및 IDA은 예방하지만 삶의 질에는 변화가 없다.
McDonagh 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철결핍의 경우 임신기간 동안 철분을 보충한 군과 위약군을 비교했을 때 Rist Ratio 0.53 (95% CI, 0.33-0.84, I2=40%, P=0.006)으로 차이를 보였고, IDA 역시 Rist Ratio 0.29 (95% CI, 0.17-0.49, I2=0%)으로 차이를 보였다 (Figure 2.).
빈혈 발생율 역시 철분 보충군이 7%로 위약군의 16%와 차이를 보였고, 헤모글로빈 수치 또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삶의 질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위약군의 차이가 없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임산부의 철 보충이 임산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철분 보충이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은?
임신기간 동안 철분 보충이 임산부뿐만 아니라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임신 기간 동안 철분 섭취가 주산기 사망률 및 임신기간 등 태아에 미치는 영향은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산의 경우, 2개의 연구에서 60mg의 철분을 섭취한 군을 위약군과 비교했을 때 Risk Ratio 0.88 (95% CI, 0.55-1.42, I2=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고 (Figure 3.), 저체중 출산의 경우 역시 Risk Ratio 1.10 (95% CI, 0.54-2.25, I2=0%)로 차이점이 없었다 (Figure 4.). 또한, 임신 20주부터 출산까지 매일 20mg 철분을 섭취한 군에서 태어난 6개월 된 영아와 위약군의 영아의 혈액학적 결과를 연구한 결과 철분에 관련된 상태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아의 경우 모체의 혈액 부족과는 상관없이 자신이 필요한 철분을 우선 가져가기 때문에 임산부의 IDA로 인해 태아가 빈혈 상태에 빠지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철의 결핍이 빈혈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연구가 수행되었던 지역이 주로 충분한 철분 보충이 가능한 선진국으로 철분 보충이나 IDA 검사가 임산부 및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키는지는 불확실한 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적인 철분 보충이 장기적인 임산부 및 태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사항이다.
- 근거 : Ann Intern Med. 2015;162:566-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