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일
2013-05-30음악(MUSIC)을 통한 치료 -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임상시험 결과
대체의학 ! 음악(Music) 치료법
현대의학의 주류인 서양의학을 정통의학으로 간주할 때,
반대되는 개념이 대체의학(Alternative Medicine)이다.
미국은 국립보건원(NIH) 산하에 대체의학연구위원회를 두고
이에 대한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다음 표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대체의학 분류표이다.
순번 |
치료 명칭 |
치료 방법 예시 |
1 |
정신신체 치료 |
최면, 명상, 요가, 음악 등 |
2 |
생전자기장 치료 |
경피신경자극 등 |
3 |
대체의학 체계 |
한의학, 인도의학, 동종요법 등 |
4 |
손 치료 |
마사지, 카이로프랙틱 등 |
5 |
약물 치료 |
상어연골제품, 봉독 등 |
6 |
약초 치료 |
인삼, 은행잎 추출물 등 |
7 |
식이와 영양 요법 |
비타민 대량 투여, 제한 식이 등 |
<표1. NIH에 의한 대체의한 분류표>
그러나, 대체의학은 '제 3의 의술', '현대의학의 대안' 이라는 찬사와
동시에 검증되지 않은 의료행위로 부작용이 클 수 있다.
음악치료법은 대상에게 적절한 음악을 듣게하여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통합과 바람직한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심리치료법 중 하나이다.
인공호흡기를 한 환자에게 음악?
호흡 곤란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을
편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통증(Pain), 불안(Agitation),
망상(Delirium)을 집중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진정제 약물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고,
이는 생체적 부작용 뿐만 아니라,
공포와 불안 등을 느끼는 정신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약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정신적으로 안정하게 해줄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음악을 통한 치료 효과를 입증하는 임상시험 결과가 발표되었다.
음악치료 효과 입증을 위한 임상시험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의 Linda L. Chlan 박사연구팀은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 최신호에
음악 치료의 임상시험 연구 결과를 2013년 5월 20일
발표하였다.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 NCT00440700)
미국 5개 병원의 12개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373명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류 |
Group 1 |
Group 2 |
Group 3 |
그룹 명칭 |
PDM |
NCH |
UC |
피험자 수 |
126명 |
122명 |
125명 |
실험군 |
일반 치료 + 음악 치료 |
일반 치료 + 소음 제거 |
일반 치료 |
<표2. 음악 치료를 통한 임상시험 디자인>
PDM(Patient-directed music) 환자군은 일반적인 치료와 함께
본인의 의지에 따라, 옆에 배치된 헤드폰을 통해 음악을 들었다.
음악은 환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준비하였다.
NCH(Noise-canceling headphones) 환자군은
헤드폰을 통해 소음만 차단하였고,
UC(Usual-care) 환자군은 일반적인 치료만을 받았다.
본 연구는 2006년 9월 부터 2011년 3월 까지 수행되었다.
주요 평가 변수로는 환자의 불안(Anxiety)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중환자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진정제 또는 진통제 8종 약물의
사용 빈도 및 양을 측정하였다.
Midazolam, Lorazepam, Propofol, Dexmedetomidine, Morphine, Fentanyl, Hydromorphone, Haloperidol |
<표3. 중환자실에서 사용되는 대표약물 8종>
음악 치료를 통해 환자의 약물 사용량, 불안감을 감소시킴
음악을 통해 치료한 그룹 환자들은 1일 평균 80분 정도
음악을 들었고, 소음 차단 그룹 환자들은 1일 평균 34분 정도
헤드폰을 착용하였다.
음악을 청취한 환자들은 일반치료만 받은 환자 그룹은 물론 소음을 차단한 환자 그룹보다 훨씬 우수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분류 |
음악 치료 그룹 |
소음 차단 그룹 |
일반 치료 그룹 |
불안 정도 (VAS-A Score) |
32 |
43 |
51 |
약물 사용량 |
2.8 |
4.2 |
4.4 |
약물사용 빈도 |
3.3 |
5.2 |
5.3 |
<표4. 치료 5일 후 불안 정도, 약물 사용량 측정 결과>
상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단지 소음만을 차단한 그룹에서는
일반 치료 그룹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음악 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일반치료 그룹에 비해
불안 정도, 약물 사용량, 약물 사용 빈도에서 각각
37%, 36%, 38% 감소시켰다.
좋은 음악은 뇌를 자극한다. 그렇다면 ?
연구책임자 Chlan 박사는
'사람이 음악을 들을 때, 뇌의 전체가 반응한다. 음악을 듣고 있을 때는 음악과 관련된 편안한 기억과 즐거움이 더욱 부각된다. 이로 인해 불안을 생성하는 요소가 상쇄되기 때문에 음악 치료군에서 효과가 있음'을 설명했다.
이른바 '모짜르트(Mozart) 효과'는 작곡가 모짜르트의
쏘나타 교양곡을 들으면 기억력이 좋아지고,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말한다.
(본 의약뉴스 7번 게시물 참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수술을 앞둔 환자들에게 음악을 듣게 한 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수치를 측정했더니,
항불안제 투여군 보다 수치가 낮았고,
덜 불안해 했다는 발표가 있었다.
가장 좋은 음악은...
본 실험에서 음악 치료 환자 그룹에게는 모두 동일한 음악이 아닌
각 환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들려주었다.
최근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도관 교수팀은
자살예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자살률과 관련 있는 물가, 실업률, 주가지수, 기온, 유명인의 자살 등과
실제 자살률의 상관관계를 처음 규명한 것이다.
앞으로는 자살 주의보, 자살 경보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시대가 오면 자살률을 감소시키는 음악이
작곡되어 예방요법으로 사용되지 않을까?
아니면 자신에게 가장 편안한 기억을 주는 음악을 들어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정해 본다.
[참고문헌]
Effects of Patient-Direct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and Sedative Exposure in Critically III Patients Receving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ublished Online May 20, 2013
DOI: 10.1001/jama.2013.5670
College of Nursing ,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Dr Chlan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