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일
2016-06-30N-Acetylcysteine 파킨슨병에 효과적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n-acetylcysteine(NAC)이 파키슨병 환자에게 잠재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의 뇌 영상과 환자의 정신 및 신체 능력을 평가한 임상 연구로 6월 16일자 PLOS ONE에 발표되었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시스템과 관련된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60세 이상에서 인구의 약 1% 정도가 파킨슨병 환자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파킨슨병 치료로는 도파민 전구물질인 L-DOPA 및 dopamine agonist 투여가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며, 증상 완화 약물 또는 수술이 함께 진행되기도 한다.
기존 여러 연구로부터 파킨슨병에 산화 스트레스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산화 스트레스는 지질, 단백질, DNA와 같은 세포 주요 구성성분에 잠재적인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파킨슨병에서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있는 N-acetylcysteine (NAC)이 파킨슨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NAC는 L-cysteine의 N-acetyl 유도체로서 체내 천연 항산화물질인 글루타치온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구의 영양 보충제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 과다복용 시 간보호를 위한 주사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3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작위 배정으로 NAC 투여군에
12명, 대조군에 11명을 배정하였다. NAC 투여군과 대조군은 표준 치료를 지속하였으며, NAC 투여군은 50mg/kg NAC를 1주에 한번 정맥 투여 받고, IV 없는 날에는 1일 2회씩 600mg NAC를 투여 받았다. NAC 투여군은 NAC 투여
받기 전(Pre-Tx)과 투여 3개월 후(Post-Tx)에, 대조군은 시험 시작 전(Pre-Tx)과 3개월 후(Post-Tx)에
평가항목을 각각 측정하였다. DaTscan
SPECT 뇌 영상과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을 평가항목으로 하였다.
NAC
투여한 파킨슨병 환자는 dopamine transporter binding이 증가되었다.
DaTscan SPECT 영상으로 미상핵(caudate)과 피각(putamen)에서의 dopamine transporter binding을 측정했다. Pre-Tx와 Post-Tx의 수치의 변화에서 NAC 투여군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4.4 내지 7.8% 향상, p<0.05),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표 1] dopamine transporter binding에서 pre-to-post-Tx 평균차
[그림 1] 반응이 있는 특정 환자의 pre 및 post NAC DaTscan
A는 기저핵(basal ganglia)에서 dopamine transporter binding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고, B는 기저핵에서 NAC 투여 후 유의적으로 강한 binding을 보여주는 t-test 결과를 보여준다 (p<0.05).
NAC 투여한 파킨슨병 환자는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에서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UPDRS 스코어에서도 NAC 그룹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평균 12.9% 향상, p=0.01). [표 2]는 pre-Tx 및
post-Tx 평균 UPDRS 스코어를 나타낸다. NAC 투여군에서 pre-to-post
Tx UPDRS 스코어는 유의적으로 줄어들었으나, 대조군은 감소하지 않았다.
[표 2] pre-Tx 및 post-Tx UPDRS 평균 스코어
본 논문의 저자 Daniel Monti 박사는 n-acetylcysteine이 파킨슨병 진행을 변화시키고 도파민 신경의 특정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본 연구가 파킨슨병 환자 관리에 새로운 길을 만들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근거]
PLoS One. 2016 Jun 16;11(6)
N-Acetyl Cysteine May Support Dopamine Neurons in Parkinson's Disease: Preliminary Clinical and Cell Line Data